이혼전문변호사 한승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이혼전문변호사 한승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52)

검색 레이어

이혼전문변호사 한승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기여도

  • 이혼시재산분할 기여도는 어떻게 정해지나

    2022.04.26 by 이혼전문변호사 한승미

  • 이혼재산분할 충분히 가능합니다!

    2022.01.12 by 이혼전문변호사 한승미

  • 재산분할청구소송 이혼 후에도 가능합니다

    2021.08.09 by 이혼전문변호사 한승미

  • 이혼재산분할소송 진실과 오해는 무엇?

    2021.05.13 by 이혼전문변호사 한승미

이혼시재산분할 기여도는 어떻게 정해지나

이혼시재산분할 기여도는 어떻게 정해지나 통상 우리는 성년에 이른 남녀가 연애를 하며 서로에 대한 믿음과 애정을 확인하고, 그 상대방에 대한 확신이 섰을 때 부부로써의 연을 맺고자 합니다. 이렇게 더 이상 연인이 아닌 법적으로 부부가 된 남녀는 그 관계를 형성하면서 결혼식도 올리고 구청에 혼인신고도 하게 되는데요. ​ 이러한 제도적인 부분 이외에도 두 사람이 함께 거주할 집이나, 같이 사용할 가재도구, 가구 등의 혼수와 차량 등의 다양한 재-산을 형성합니다. ​ 또한 함께 살아가는 동안 적금, 예금, 주식, 펀드 등 가족 구성체를 위한 공/동/재/산을 축적하고 확대시켜 나갈 것인데요. 이러한 금전적인 부분과 직결된 것들은 관계가 원활할 때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고 그 사이가 틀어..

카테고리 없음 2022. 4. 26. 11:35

이혼재산분할 충분히 가능합니다!

이혼재산분할 충분히 가능합니다! 부부의 연을 맺을 때와 달리 그 연을 끊고 관계를 정리할 때에는 더욱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자됩니다. 서로가 단순히 사랑 하나만을 목적으로 같은 곳을 바라보았을 때에는 힘든 일이 발생하여도 서로 힘을 합쳐 이겨냈다면, 서로가 다른 길을 걸어가기로 한 순간부터는 각자의 노력으로 장애물을 뛰어 넘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 특히 이와 관련하여서는 부부가 함께하는 동안 이룩해온 재산에 관한 부분에서 가정주부의 경우 자신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한다는 등의 오해로 인해 쉽게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시거나, 이를 알지 못하여 크게 불이익을 당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법무법인 승원과 함께 이혼소송재산분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볼 생각입니다. 부디 자신에게 주어진 권리를 확..

카테고리 없음 2022. 1. 12. 11:37

재산분할청구소송 이혼 후에도 가능합니다

재산분할청구소송 이혼 후에도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법무법인 승원입니다. 배우자와의 이별이라는 것은 이미 서로에 대한 감정이 모두 사라진 후라고 하더라도 그리 쉬운 시간은 아닙니다. 한 때 가장 사랑했던 사람이기에 지금은 세상에서 가장 미운 사람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정말 다시 남남으로 돌아가는 과정이 그리 속 편한 일만은 아닐 테지요. 그렇다 보니 많은 분들이 혼인관계를 해소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결심이 선 지금 이 순간에 빠르게 해결하고 싶어 하시죠. 하지만 재판을 통해 혼인관계를 해소하려고 한다면 통상적으로 6개월에서 1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다 보니 심신이 지치게 되는 것은 어쩔 수가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 이렇듯 빠르게 배우자와의 관계를 종료하려고 하다..

카테고리 없음 2021. 8. 9. 14:47

이혼재산분할소송 진실과 오해는 무엇?

이혼재산분할소송 진실과 오해는 무엇? 민법 제839조의2를 보면 이혼재산분할과 관련하여 그 청구권에 대한 정의가 나와있습니다. 해당 내용을 살펴보면, 협의상 이혼한 사람의 일방은 상대방에 대해 이를 청구할 수 있으며 재판이혼시에도 해당 청구권 행사가 가능한 것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만약 협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당사자의 신청으로 부부가 공동으로 이룩한 재산규모와 기타 사정을 참작해 그 비율과 방법을 정한다고 되어 있는데요. 해당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기간은 이혼한 날로부터 2년 이내라고 소멸시효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요즘은 맞벌이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전히 아이를 출산함과 동시에 육아문제로 인해 직장을 그만 두고 전업주부로 돌아서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 상황..

카테고리 없음 2021. 5. 13. 16:5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이혼전문변호사 한승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